시시한 삶의 자리의 영광

[책 리뷰] 내 이름은 욤비 / 욤비토나 본문

생각하다/리 뷰

[책 리뷰] 내 이름은 욤비 / 욤비토나

어린语邻 2014. 1. 29. 00:06

내 이름은 욤비욤비 토나 Yimobi Thona

 








19671015, 콩고민주공화국 반둔두 주 키토나라는 작은 도시에서 태어났다. 배고플 땐 나무 열매를 따 먹고 외로울 땐 동물들 뒤를 쫓으며 그게 세상의 전부인 줄 알고 살았다. 대학을 가는 게 특권인 나라에서 킨샤사 국립대학 경제학과를 졸업했고, 콩코비밀정보국(ANR)에서 일했다. 2002, 정보국 작전을 수행하다가 조셉 카빌라 정권의 비리를 알아채고 이 정보를 최대 야당인 <민주사회진보연합>에 전달하려다 발각돼 체포됐다. 국가 기밀 유출죄로 비밀 감옥에 수감돼 갖은 옥고를 치르다가 구사일생으로 탈출해 한국에 들어왔고 난민 신청을 했다.

 

난민이란? (난민협약에서 정의하는 바에 따르면)

인종, 종교, 국적 또는 특정의 사회적 집단의구성원이거나 정치적 의견을 이유로 박해를 받을 만한 충분한 이유가 있는 위험 때문에 그 국적국의 보호를 받르 수 없는자, 또는 받을 것을 희망하지 않는 자로서 국적국 바깥에 있는자.

 

한국어가 링갈라어보다 자연스럽고, 한국의 문화와 역사가 콩고의 문화와 역사보다 가깝게 느껴질 날도 머지않아 보였다. 실제로 아이들은 그렇게 변해 갔다. 세 남매에게 제국주의의 역사는 일본이 한국을 신민 지배한 시기였고, 아이들의 영웅은 이순신이나 유관순, 아니면 박지성이었다. 때로 아이들은 콩코를 전혀 기억하지 못하거나 아니면 부정적인 모습으로만 기억했다. 콩고 것은 나쁜 것, 한국 것은 좋은 것이라는 인식이 아예 자리를 잡은 것 같았다. 아이들이 얼굴만 콩고인일 뿐, 한국 사람이 다 된 것 같다는 인상을 받기도 했다. 그런 생각이 들 때마다 불쑥불쑥, 아이들의 미래가 걱정되었다.

한국의 다문화 교육에도 문제가 있어요. 오로지 한국어를 유창하게 하고 한국 문화에 익숙해지도록 가르치는 게 다문화 교육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대부분이거든요. 그러다 보면 아이들은 출신 국가의 문화를 하루빨리 버려야 한다고 생각하게 되죠. 우리 아이들만의 문제만이 아니에요. 한국이 먼저 바뀌어야해요.’

 

 

난민제도가 궁극적으로 지향하는 것은 난민의 사회 통합입니다. 여기서 통합이란, 자신의 문화 정체성을 포기하지 않으면서 한 사회의 핵심 가치를 수용해 적응한다는 뜻입니다. 이러한 통합은 한 사회의 문화를 더 풍부하고 다양하게 만들어 줍니다.

 


■ 나만의 생각해보기


1.‘난민되기가 그렇게나 힘들었단 말이야?

 

2. ! 난민은 난민캠프에서 천막에 사는 사람만 난민인 것이 아니구나!

 

3. 난민들이 한국에서 살아가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