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아프리카기도모임
- 드림터치포올
- 교육봉사
- 모모
- 한톨의밀알
- 국제이해교육
- 김응교
- 몽펠리에
- 케냐문학
- 셍가베이
- Montpellier
- 한국oda문제
- 몽펠리에 생활
- 여명학교
- 드림터치
- 프랑스 유학
- 카우치서핑
- 말라위
- 예사랑교회
- 응구기와티옹오
- 나쓰메소세끼
- 평화교육
- 차세대통일리더캠프
- 평화교육프로젝트 모모
- 아프리카
- 아기모임
- iefe
- 파견학생
- 미래소망스쿨
- 자연주의교육
- Today
- 4
- Total
- 98,069
목록배우다/교육+개발 (3)
시시한 삶의 자리의 영광
180610_GEC 배움노트_기록3_'교육의 공공성? and '교육권?' 한 학기 동안 수업을 들으면서 내 머리 속에 가장 강렬하게 남은 고민은 '교육의 공공성'에 대한 것이다. 교육의 공공성이 무엇일까? 크게 두 가지 고민이 생겼는데, 하나는...근대학교 체제에 대한 경직성과 교육의 공공성을 연결해보았을 때 생기는 부분이다. 예를 들어서, 우리는 같은 나이에 무조건 다 같이 학교에 들어가서, 무조건 같은 교과과정으로 배워야만 한다. 각자가 가지고 있는 능력치가 다른데, 꼭 다- 같이 해야 한다는 점이 갸우뚱이다. 학습자들은 점점 더 유연해지고, 사회도 더 유연해지고 있는, -바우만은 이것을 액체성fluidity라 했는데- 상황에서, 그리고 교육 관련 이해관계자의 범위가 다양해지고 있는 상황에서,교육의 ..
GEC 배움노트_기록2_SDG 4.7과 세계시민교육 오늘은 국내에서 세계시민교육을 맡고 있는 A기관에 회의를 다녀왔다. 그 주제는 SDG 4.7 의 한국형 목표(K-SDGs)를 수립하기 위한 1차 회의였다. 기존에 A기관에서 제시한 것은 '세계시민교육 및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중심으로 2030년까지 모든 학습자들이 지속가능발전 및 지속가능 생활방식, 인권, 양성평등, 평화와 비폭력 문화 증진, 세계시민의식, 문화다양성 및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문화의 기여에 대한 교육을 증진 및 확산한다' 이다. 기존의 SDG 4.7은 '모든 학습자들이 지속가능발전 및 지속가능 생활방식, 인권, 성평등(gender equlity), 평화와 비폭력 문화증진, 세계시민의식, 문화다양성 및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문화의 기여에 대한 교..
180604_GEC 배움노트_기록1_우간다의 초등교육 탈락율 대학원을 읽으면서 어마어마하게 많은 것을 읽는다. 그런데 읽고 증발하는 것이 아주아주 많다. 읽었던 것들 중에 재미있었던 것, 짧게라도 기록을 남기는 연습을 하려고한다. 특히 수업에 관한 것이 아니라, 혼자 연구주제 설명하면서 읽는 이모저모 논문들은 온전히 혼자 읽고 혼자 생각하기 때문에, 더욱 증발되기가 쉽다. 그래서 오늘부터 조금씩 적어보려고 한다. 최근에 동아프리카의 초등교육 관련한 기본적인 교육데이터들을 살펴보았다. (2015년에 나온 유네스코 데이터) 케냐, 말라위, 르완다, 우간다, 탄자니아- 이 모든 국가들은 기본적으로 무상의무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그런데 한 가지 흥미로운 데이터를 발견했는데...바로, 우간다의 데이터만 다른 동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