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카우치서핑
- 파견학생
- 말라위
- 셍가베이
- 김응교
- 나쓰메소세끼
- 미래소망스쿨
- 여명학교
- 아프리카
- 응구기와티옹오
- 평화교육프로젝트 모모
- 자연주의교육
- 몽펠리에
- 모모
- 예사랑교회
- 몽펠리에 생활
- 케냐문학
- 아프리카기도모임
- 국제이해교육
- iefe
- 교육봉사
- 평화교육
- Montpellier
- 드림터치
- 아기모임
- 드림터치포올
- 프랑스 유학
- 한톨의밀알
- 한국oda문제
- 차세대통일리더캠프
- Today
- Total
목록생각하다 (97)
시시한 삶의 자리의 영광
루이스는 이번에도 나를 실망시키지 않았다, 좋은 친구에게, 좋은 스승에게 감사하듯, 지금 이 세상에 살지 않더라도, 이런 책을 남겨준 저자에게 감사하다. 시험기간에 복잡한 책을 읽자니 영 머리에 들어오지 않아, 계속 한 켠에 마음에 담아두었던 루이스의 헤아려본 슬픔을 읽기로 했다. 친구 같은 루이스의 투정 같지만 날카로운 이야기에, 나의 슬픔도 위로가 된다. 루이스에 대해서 간단히 소개하자면, 그는 1898년생 아일랜드 출신이며, 완고한 무신론자로 살다가 1929년 회심한다. 그가 고통에 대해서 쓴 는 그가 쓴 첫 변증서이다. 그는 어린 시절 어머니를 잃기도 했고, 1차 세계대전에 참전하면서 친구들을 잃는 아픔을 겪기도 했다. 루이스와 조이는 1950년부터 서로 편지를 주고 받다가 (작가와 독자의 지적인..
르네 지라르 (Rene Girard)_프랑스, 문학평론가, 전 대학교수 1923-2015 - 주요 저서 르네 지라르의 이론은 현재 자본주의 사회의 모습과, 많은 문학작품과 영화를 해석하는 데에 유용한 도구가 된다. 욕망의 삼각형(Désir triangulaire) 과거에는 욕망(Desir)의 주체는 일대일 관계를 이루고 있었다. 프로이트도 그렇게 설명하였다. 예를 들어, 나라는 주체가 명품가방을 욕망하는 것이다. 그러나 르네 지라르는 '매개자'라고 불리는 제3의 무엇이 있다고 설명하였다. 즉, 내가 있고 욕망의 대상이 있고, 다른 매개자(중개자)가 있다. 욕망의 도식은 직선이 아니라 삼각형인 것이다. 즉, 인간의 욕망은 모방욕망이라는 것이다. 지라르에게 있어서 욕망은 자연발생적이지 않다. 이것은 제3자에..
에마뉘엘 레비나스 (Emmanuel Levinas) _1906-1995 철학자, 전 대학교수 리투아니아 출신의 프랑스 철학자. - 주요저서 - 엠마누엘 레비나스의 삶 - 그는 리투아니아 출신의 유대인이다. 타자성의 윤리학을 이야기했던 그는 어릴 적 부터 그의 삶 자체가 타자적이었다. 서구철학에서의 '타자'는 배척의 대항이며, 이방인, 경계, 주변인 같은 것들이었다. 리투아니아는 변방 나라였고, 그 안에서도 유대인으로 살았던 그는 '타자'였다. 당시 대부분의 유럽 나라에서는 유태인들을 심하게 차별했다. 유대인들은 공교육에 받아들여지지 않았는데, 그래서 각 나라마다 유대인 공동체에서 따로 사립학교시설을 세웠다. 그 학교에서 가르칠 교사를 양성하는 학교가 '이스라엘 사범학교'였고, 그 사범학교의 본부가 파리에..
_발표 내용을 재구성했습니다 키에르케고르의 사상은 어렵게 보면 어렵지만, 간단히 보면 굉장히 간단합니다. 그의 사상의 핵심은 절망과 불안입니다. 자신의 삶에서 깊은 내면의 절망을 겪어보신 경험이 있으시거나 혹시 지금 경험하고 계시다면, 키에르케고르의 사상이 더 잘 이해가 되실겁니다. 키에르케고르는 절망과 불안에 빠져있었던, 슬픈 철학자였지만 동시에 그것을 극복해나갔던 철학자입니다. 1. 삶 키에르케고르의 아버지는 평생 죄의식에 시달립니다. 바로 두 가지 일 때문입니다. 하나는 키에르케고르의 어머니와 결혼한 일입니다. 원래 그의 어머니는 집안의 하녀였는데, 아버지와 혼인한 뒤 두 달 만에 첫 아이를 낳았다고 합니다. (이 때문에 어떤 학자는 이를 강간에 의한어쩔 수 없는 결혼이라 보기도 한다.) 더군다나 ..
장 폴 사르트르 (Jean Paul Sartre) 사상가, 작가 1905년 6월 21일, 프랑스 - 1980년 4월 15일 *20세기 후반 시대적인 패러다임을 포스트모던이라고 한다. 포스트모던의 주요학자들은 다 프랑스 출신이었는데, 그 학자들이 한결같이 영향을 받은 자가 '사르트르'이다. 고전주의에 데카르트가 있었다면, 20세기에는 사르트르가 있다. *세계대전을 겪은 이후에 많은 사상가들은 '왜'라는 질문을 던진다. 헤겔은 근대의 성장과 발전을 정반합(변증)으로 설명하였다. (전근대pre-근대modern-탈근대post) 즉 자본주의, 인간과 이성의 발전, 과학의 발전, and then 풍요로움을 생각한 것이다. 그런 인간의 이성과 계몽주의의 끝에는 '전쟁'이 있었다. 성장과 발전의 장밋빛 미래가 아니라 ..
자끄 라캉 (Jacques Lacan)_1901-1981 철학자, 전 대학교수 - 주요저서 - - 주요내용 - 프랑스의 정신의학자. 구조언어학을 정신분석에 적용하였다. 68혁명 이후 지식인들의 관심을 받았다.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을 구조주와 언어학의 관점에서 재해석하고 그러한 해석을 통하여 인간에 대한 철학적 접근을 시도한 일종의 또 다른 정신분석학으로 독창성을 인정받았다. 1966년에 그의 에세이와 강의 내용이 담긴 논문집 『에크리』(Ecrits)가 출간되면서 유명인사가 되었다. [네이버 지식백과] 라캉 [Jacques Lacan] (철학사전, 2009., 중원문화) - 포스트모더니즘의 대표적인 철학자로 사르트르의 Kid라고 불린다. (구조주의자체가 처음 시작점을 설명하는 것이 아니라 구조 속에서 발생..
지그문트 프로이트 (Sigmund Freud) 심리학자, 의사 1856년 5월 6일, 오스트리아 - 1939년 9월 23일 - 대표저서 - - 1. 프로이트를 간단히 설명하자면 - 정신분석학자 - 인간의 정신에 대해서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법칙을 최초로 수립 - 일상의 생각과 행위 속에서 작용하는 무의식의 힘을 최초로 체계화 2. 무의식의 발견 프로이트의 가장 큰 업적은 '무의식'의 발견이다. 물론 프로이트 이전에도 무의식의 개념은 존재했다. 하지만 과거에는 이성의 빛이 비춰지는 것이 이성의 영역이고, 그 빛이 '미처' 닿지 못한 사각지대를 무의식으로 보았다. 하지만 프로이트는 그 개념을 뒤집었다. 눈에 보이는 일부가 의식이고, 그 안에 더 많은 무의식이 있다는 것이다. 인간은 무의식으로 선택하지만 모르고..